서양 고대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는 '한 번 담은 강물은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는
말을 남겨, 세상 만물은 변한다는 주장을 펼친 바 있는데, 그의 비유와 걸맞게 우리가 사는
형이하학의 세상에는 변하지 않는 것이 없다. 인간들은 그 변화를 받아 들이길 두려워 하지만
피할 방도는 없는 것 같다. 급변하는 세상이란 말을 자주 사용한다.
속도의 문제가 있긴 하지만 세상은 늘 변하고 있다. 이세상에는 하루도 변하지 않는 것이 없다.
나만큼은 변하지 않을 거 같아도 제일 먼저 변한다.
예전엔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시대를 살았지만 지금은 하루 하루가 달라진다.
도무지 뭐가 뭔지 모를 정도로 급변하는 시대를 살고 있을 정도이다.
친구도 변하고 우정도 변한다. 심지어 敵들도 변한다.
주변 사람들은 세상이 많이 변했다 한다. 내가 봐도 많이 변했다.
물론 내 자신이 부침이 가장 심했고 변했을 것이다.
변화하는 시대에 안변하는게 이상할 정도의 세상이되었다.
자연도 변하고 세상도 변하고 사람도 변한다.
나는 이 변화를 배신이라고 하지 않고 '진화'라 부르고싶다. ‘
새는 태어나기 위해 알 껍질을 깨뜨린다. 새에게 알은 하나의 세계다.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할 수밖에 없다.’
소설 ‘데미안’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우리는 변해야 한다는 명제를 가슴 한편에 늘 지니고 산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이 말은 누구나 인정하는 진리다. 왜 변해야 하는 것일까?
우리가 학창시절 나누었던 우정이란 것도 세월이 흐르면서 많이 퇴색했다.
영원히 변치말자고 맹세해 보지 않은 사람이 몇이나 있는가?
교정 한구석에서 영원한 우정을 감히 꺼내며 새끼 손가락을 걸어보지 않은 사람이 과연 있었는가?'
그래서 가끔은 가슴이 아려 올 때도 있지만 그려려니 하면서 세상을 살려 노력중이다.
집착은 금물이다. 어떤 딱 한가지의 생각에 집착이 심한 인간은 그 강인한 의지만으로
충분히 남들의 존경을 받을만도 하다. 어리석은 사람들은 대부분이 고집이 세고
고집이 센사람은 거의다 어리석다. 이들은 더욱 잘못된 관점에 집착하고
그러다 결국 어디가 어딘지 알지도 못하게된다. 설령 자기의 의견이 정확하더라도
한발 물러나는 모습을 보여주는것이 좋다. 그러면 언젠가 사람들은 내 생각이 옳다는것을
인정하게될 것이고 내가 가진 양보의 여유와 관대함에 감탄하게 될 것이다.
고집이 초래하는 손해는 타인을 다치게 함으로 얻는 소득을 훨씬 능가한다.
고집 부리는 순간 내가 옹호하고자 하는 것은 진리가 아니라 비합리성이된다
-全政文 詩人의 ((흘러가는 시간앞에서)) 중에서-
photo back ground-소래생태공원
인천 남동구 논현동 1-55
본향을 생각하면서┃詩人이 보는 世上┃2024-06-09 (1) | 2024.06.09 |
---|---|
관조┃詩人이 보는 世上┃2024-06-08 (0) | 2024.06.08 |
기고만장(氣高萬丈)┃詩人이 보는 世上┃2024-06-06 (1) | 2024.06.06 |
바로 지금┃詩人이 보는 世上┃2024-06-05 (1) | 2024.06.05 |
떠난 빈자리┃詩人이 보는 世上┃2024-06-04 (1) | 2024.06.04 |
댓글 영역